본문 바로가기

이슈627

어제 미국에서 삼성전자에게 닥친 두 가지 불운! 오늘 미국의 경제지 Business Insider 뉴스를 보고 있는데 SAMSUNG이라는 글자가 눈에 들어 옵니다. 저는 관계자도 아니고 삼성전자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도 않지만 왠지 모르게 당.연.히. 클릭하는 제 자신을 발견합니다. 읽어 보니 당황스럽기도 하고 웃음이 터지기도 하는 기사더군요. 미국에서 삼성전자는 NBA의 수퍼스타 LeBron James와 광고대변인 (영어로는 endorser, spokesperson, pitchman 등의 용어로 부를 수 있습니다.) 계약을 체결했는데요. 광고대변인이란 단순한 CF모델과는 달리, 광고 뿐만 아니라 계약 조건에 명시된 경로로 제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노출시켜 주는 사람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이런 거죠. 헐리웃 여배우 제니퍼 애니스톤의 파파라치 사진인데요.. 2014. 3. 14.
정말 한국만 그런 걸까? 다른 나라도 똑같을까? 사실 오늘은 예약해 두었던 포스팅도 없고 새로 쓸 생각도 없었는데 갑자기, 문뜩, 불현듯, 궁금해지는 게 있어 이렇게 글을 씁니다. 평소 제 블로그에는 한국과 미국은 물론이고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각지에서 생활하고 계신 분들이 와 주시는데 바로 그래서 이 곳에서 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캬아~ 좋네요! 물리적 거리 따위에 연연하지 않아도 되는 온라인이란~ 뭐가 그리 궁금하냐면요, 헐리웃 스타들이나 해외 아티스트들이 내한할 때 말입니다... 한국 interviewer들이 반.드.시. 묻는 3종 질문 세트가 있다고 하죠? 1. 싸이 (혹은 싸이 전에는 비) 아세요? 2. 한국 영화를 본 적 있나요? / K-POP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3. 좋아하는 한국 음식은 있나요? 마치 입국심사에.. 2014. 3. 13.
처음 보고 의아했던 미국 은행의 아날로그적 입금방법 제가 한국에 살던, 교복입고 다니던 여중생 시절에 말이죠... 저희 어머니께서 체크 카드라는 것을 처음 만들어 주셨습니다. 아직도 기억나는 에메랄드 색 바탕에 꽃무늬가 그려져 있던 농.협.카.드.로요. 혹자들은 초록도 아니고 연두도 아닌 흐리멍텅한 색이라 말할 수도 있겠지만 생애 처음으로 카드라는 것을 가진 제 눈에는 분.명. 에메랄드 빛이었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그 당시에도 ATM 서비스가 훌륭해서 기계에 카드를 넣고 화면만 몇 번 두드리면 바로 입출금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ATM으로 입출금을 할 때마다 어쩐지 어른 + 현대인이 된 것 같았던 단순한 제가 후에 미국에 와서 처음 맞닥뜨린 은행 밖 ATM을 보고 웃음을 터트렸답니다.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ATM이 아니라 그 옆에 자리하고 있.. 2014. 3. 12.
내 시름을 덜어준 미국 도서관의 서비스, 최고야! 뭐든 크고 많은 나라라 그런지 미국에는 도서관이 참 많습니다. 학교 도서관 뿐만 아니라 곳곳에 공공 도서관이 있는데 제가 사는 도시에도 28개의 Public Library가 있습니다. 시립 도서관들은 같은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28개 중 한 곳에서 회원 카드를 발급받으면 나머지 27개 도서관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죠. 여기까지는 특별한 것 없는 이야기지만 제가 십 년 전에 우연히 알게 된 공공 도서관의 편리한 서비스가 하나 있답니다. 이방인 씨가 공부하는 척을 하던 학생 시절, 과제를 하기 위해 학교 도서관은 물론이고 공공 도서관에서도 이런 저런 책들을 빌려야 했습니다. 이런 도서관 순회는 대학 시절 내내 반복되었는데, 학교 도서관의 규모가 크다고 해도 같은 과제를 해야 하는 학생들이 많이 .. 2014. 3. 11.
우리 엄마를 기막히게한 미국 여성들 옷차림 며칠 전, 저희 어머니 박여사께서 TV를 보시다가 세상에 그런 기가 찬 광경은 처음 본다는 듯 제게 물으셨습니다. "어머 세상에, 쟤네들 대체 왜 저러고 다니니...." 어머니의 말에 고개를 돌려 쳐다 보니, 아하~ 바로 그들이군요. 제 기억으로는 2012년쯤부터 자주 볼 수 있었던 패션을 선보이는 미국 여성들입니다. 이름하여, Wearing Leggings As Pants 레깅스를 바지처럼 입기 어때요? 저희 어머니가 "왜 저러고 다니냐"고 물으실 만하죠? 몇 년 전 한국에서도 여성들의 레깅스 패션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대부분은 둔부를 가리는 긴 상의 또는 스커트 아래에 입었죠? 하지만 미쿡에는 위 사진으로 보다시피 그런 미풍양속적 구속(?) 따위는 So So Cool하게 날려버린 여성들이 있답니.. 2014. 3. 7.
우리 동네에서 마약이 합법화 되면 어쩌지?!! 이방인 씨의 "우리 동네"라 함은 물론 캘리포니아를 말합니다. 제가 듣기로 미국에서는 1996년부터 대마초 합법론자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는데 그들의 노력이 빛을 발하는 건지 조용한 우리 동네에도 최근 4-5년 사이 본격적으로 대마초 합법화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눈에 들어오더라구요. 거리에서 대마초 합법화 운동에 서명에 달라는 사람들도 본 적이 있고 말이죠. 올해 캘리포니아에서 대마초 합법화 주민 투표를 위해 발의안을 제출할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지만 얼마 전 뉴스를 보니 그들이 발의를 2016년까지 미루기로 했나 봅니다. 언제 투표에 붙여질지도 확실치 않고 투표의 결과도 모를 일이지만 사안이 공론화 된 것은 사실이라 캘리포니아의 주지사인 Jerry Brown은 며칠 전 공개적으로 대마초 합법화에 반대한.. 2014.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