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이야기

미국인이 당황하는 한국 문화

by 이방인 씨 2012. 3. 8.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다문화 사회인 캘리포니아에는 거의 모든 대학에 교양과목으로 Multiculturalism에 관한 수업이 있습니다.
저 역시 대학에 다닐때 Diversity in Classroom (교실안의 다양함), Multicultural Society (다문화 사회) 등의 수업을 많이 들었습니다.
저 같은 이민자들도 많이 수강하지만, 이민자들이 넘쳐나는 곳에 살고 있는 미국인들도 많이들 옵니다.

미국의 인문계열 수업은 대부분 토론형식으로 진행되기때문에, 서로 얘기하다보면 어느새 저 같은 외국출신 학생들이 미국인 친구들에게 다양한 문화를 가르치고 있는 형국이 되버립니다.
저도 때로는 한국문화를 가르쳐주기도 하고, 때로는 러시아, 멕시코, 대만 등지에서 온 친구들에게 그 나라 문화를 배우기도 했죠.
반대로 토종 미국인들은 또 외국출신인 저희들에게 미국의 문화를 가르쳐주는 아주 재밌는 시간이죠.
오늘은 제가 토론중에 설명한 한국문화때문에, 미국 친구들과 교수님마저 기겁(?)했던 사연을 소개하겠습니다. 

첫번째 - 한국의 학교

학교라는 소리가 나오자마자 많은 분들이 짐작하셨겠죠.
저 역시 야자를 했던 경험으로, 한국의 학생들이 얼마나 피땀흘려 공부하는지를 설명해주었죠.
그런데 처음에는 안 믿더라구요.
한국의 고등학생들은 새벽별보고 등교해서, 다시 밤에 별보면서 하교한다고 말해줬더니 반응이 완전 

웃기시네  우리가 사정 모른다고 너무 뻥을 치는데??

 

이렇더라구요.
일단 진짜라고 믿게하는 것부터 큰 관문이었습니다. -.-;
그리고 왜 그렇게까지 공부를 해야만 하는지, 한국의 교육열과 치열한 경쟁사회에 대해 설명을 해줬죠.
다 듣고 나더니, 교수님이 이제야 한국학생들의 SAT 성적이 왜 그렇게 좋은지 알겠다고 하시더라구요.

외국인들이 한국 학생들의 학습시간에 경악한다는 것은 아마 많은 한국분들이 이미 알고 계실텐데요.
사실, 제가 그들을 깜짝 놀라게 한 적이 한 번 더 있습니다.
저는 미국에서도 한국에서 사용하던 필통을 그대로 썼었는데요.
1학년 7반 42번이라는 뜻의 일련번호, 1742가 적혀져 있었습니다.
한번은 누군가 그게 무슨 넘버냐고 묻길래, 대수롭지 않게 학교 다닐때 받았던 내 번호라고 했더니 무슨 의미인지 못 알아듣더라구요.
그래서 또 다시 자세한 설명모드로 들어가서, 한국에서는 학급의 학생들에게 번호를 부여한다고 알려줬죠.
수업시간에 번호를 불러서 시키기도 한다는 얘기도 해줬구요.
저는 정말 별일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얘기를 들은 미국친구들 정말 기겁하더라구요.

헐Oh My God...어떻게 사람을 번호로 불러? 무슨 물품번호고 아니고...

 

하길래, 제가 오히려 좀 당황했습니다.
한국에서는 중고등학교에 들어가면 번호를 가지는 것은 너무 당연한 일이잖아요.
번호로 불린다고 해서, 특별히 내 인권이 무시당했다는 생각을 하지도 않구요.
저는 그들에게 학생을 물건취급해서 그런게 아니라, 미국하고는 사정이 달라서 한반에 45명이나 되는 학생들의 기록보관같은것을 더 정확히 하기 위해서 번호가 있는거라고 해명을 했습니다.

그들의 반응이 충격적이었던 저는 조금이나마 한국의 학생번호 문화에 대해 알아봤거든요.
그런데 그게 일제시대에 일본이 도입시킨 제도라고 쓴 글을 봤어요.
정말 그런거라면 학생번호제도를 없애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제가 학교 다닐 때는 한반에 45명씩은 됐었지만, 요즘 제 사촌동생 보니까 한반에 30명이라는 것 같았거든요.
이 정도면 선생님들도 학생들을 이름으로 기억할 수 있을 것도 같아요.



두번째 - 한국의 결혼

어느 날은 강의중에 각기 다른 나라의 결혼에 관해서 토론을 했는데요.
그 때 받은 자료중에 초혼의 평균 연령이 있었습니다.
미국의 경우 남성 28.4세, 여성 26.5세 였고, 한국은 남성 31.8세, 여성 28.9세 였습니다.
전반적으로 유럽이 가장 초혼 연령이 높았고, 그 다음이 아시아, 그리고 아메리카와 아프리카는 비교적 일찍 결혼을 하는 것으로 집계가 됐더라구요.

통계를 보고나서, 각 문화권에서 온 학생들이 나름대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요.
유럽의 평균 초혼 연령이 높은 것은, 워낙 결혼자체를 안 하는 사람들이 많아서라더군요.
결혼이라는 절차없이 함께 살다가 나중에 법적으로 결혼을 신고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하네요.

저도 제 차례가 왔기에, 나름대로 생각해 본 이유를 말했습니다.
우선은 한국 남성들의 군복무를 들었죠.
아무래도 학업과 군복무를 다 마치고, 직장을 얻은 뒤에 결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러면 적어도 만 25-6세는 넘기게 되잖아요.
또 하나의 이유는 결혼 자금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죠? 
한국의 관습으로는, 남성이든 여성이든 결혼을 위한 경제적 준비를 항상 염두에 두지 않습니까.
어느쪽에서 마련하던지 신혼집과 혼수가 결혼에는 보편적 필수조건이니까요.

이 얘기를 했더니, 또 놀랍니다.
미국인들은 결혼식에는 돈을 쓰지만, '새 집과 새 물건들을 장만할 돈이 모일 때까지 결혼은 곤란하다' 라는 인식은 없거든요.
물론 결혼하면서 새로 집을 사서 이사하는 경우도 있지만, 한 쪽이 원래 살던 곳으로 합주하는 경우가 많아요.

* 이것은 사실 한국과 다를 수 밖에 없는게, 한국은 자녀들이 결혼하기 전까지 부모님과 함께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미국은 성인이 되면 홀로 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미 살고 있는 집이 있는것이죠.*

아, 그리고 집에 놓을 물건들은 대부분 친구들이나 친지들이 선물을 해줍니다.
축의금이라는 관습이 없는 대신에, 신랑 신부가 미리 작성해놓은 필요한 물건 리스트를 보고 선물로 대신하는거죠.
그런데 정말 저를 폭소하게 만드는 신문 기사를 한 번 본 적이 있습니다.
요즘 미국의 신랑 신부들이 하는 고민중 하나가 이것이랍니다.


어떻게 하면 축하객들의 기분 상하지 않게 선물 대신 현금을 달라고 말할 수 있을까? 

 

역시, 취향에 안 맞을수도 있는 선물보단 현금이 대세라는 거죠.
이런걸보면 한국의 축의금 문화가 선물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합리적 수도 있겠네요.

아 참, 저도 그 날 몽고출신 친구에게 들은 것인데 남성이 집을 장만하고 여성이 혼수를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인 한국과 달리 그 친구의 고향에서는 결혼하면 남성이 혼수를 싸 들고 여성의 집으로 들어온다고 하더라구요.
다양하고 재밌는 세상이죠?

오늘은 미국인들이 조금 당황한 한국 문화에 대해 써봤습니다.
제가 그들의 나라에서 느꼈던 당황스러움에 비하면 이건 별것도 아니라는 생각을 사알짝 해봅니다만, 어쨌든 그들에겐 문화충격이었겠죠.
흥미롭게 보셨길 바라면서, 좋은 아침입니다!